올림픽선수촌 비오톱 1등급 해제 눈앞…재건축 ‘숨통’‘수목만 보고 숲 못 봤다’…서울시, 도시생태 평가 기준 12년 만에 손질
|
![]() ▲ 남창진 서울시의원 (사진=서울시의회) |
“뉴스는 보물이다, 뉴스보고가 지킨다.” – News Repository –
【뉴스보고, 서울=오영세 기자】 서울 송파구 올림픽선수촌아파트 재건축을 가로막던 가장 큰 걸림돌 중 하나였던 비오톱 1등급 지정이 해제 수순을 밟고 있다. 서울시가 5년 주기로 정비하는 도시생태현황도에서 해당 부지의 등급을 하향 조정한 내용을 주민 열람까지 마쳤고, 최종 고시만을 남겨두고 있다.
올림픽선수촌아파트는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 직후 조성된 대규모 단지로, 현재 5,540세대가 거주 중이다. 하지만 단지 내 일부 부지가 ‘비오톱 1등급’으로 묶여 수십 년 간 창의적인 재건축 설계와 단지 내 도로계획에 제약을 받아왔다.
비오톱(biotope)은 특정 식물·동물이 군집을 이루는 생태 서식지를 의미하며, 1등급으로 지정될 경우 개발행위가 원천적으로 제한된다.
이 같은 제약 속에서도 지역정치권은 주민과 함께 지속적인 제도 개선을 요구해왔다. 남창진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송파2)은 “아파트 노후화에 따른 안전문제와 생활 불편에도 불구하고, 행정적 장벽으로 재건축이 발이 묶인 상황을 서울시에 수차례 전달해왔다”며 “이번 열람 결과대로 고시가 확정되면 단지 재건축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지역구 박정훈 국회의원 역시 서울시와 수차례 실무 협의를 이어가며 주민 민원의 정당성을 피력해왔다. 박 의원은 “실제 토지 이용 이력을 반영하지 못한 일률적 지정 기준은 현실과 맞지 않다”며 “정책은 사람을 위한 것이어야 하며, 주민 삶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때마침 서울시도 지난 2월 26일, 규제 혁신 차원에서 경제활성화 방안 42건을 발표하며 ‘비오톱 지정기준 개선’안을 포함시켰다. 수목 수량만을 기준 삼던 과거 방식에서 벗어나 토지 이용 실태, 조성 연도, 실제 생활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방향으로 기준을 개편한 것이다.
해당 아파트 부지는 이미 수목식재와 조경이 이뤄진 생활권 내 공간이라는 점에서, 더 이상 원형 보존의 필요성이 낮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제 남은 절차는 고시뿐이다. 남창진 시의원은 “생태환경 보전도 중요하지만, 주민들의 재산권과 안전 또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다”며 “올림픽선수촌아파트가 생태와 조화를 이루는 미래형 주거단지로 재탄생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울의 대표적 노후 단지가 마침내 재건축을 향한 첫 단추를 풀며, 정책의 유연성과 주민 참여의 힘이 만들어낸 변화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