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보고

디자인 서울보다 ‘생활 안전’이 먼저…박수빈 시의원, 오세훈 시정 작심 질타

“싱크홀은 반복되고 대책은 복붙”…하수도 요금‧토지정책‧치안대응까지 전방위 비판
“급발진 행정에 민심 급정지”…“서울시, 보여주기 대신 시민 안전부터 챙겨야” 일침

오영세 | 기사입력 2025/06/13 [08:44]

디자인 서울보다 ‘생활 안전’이 먼저…박수빈 시의원, 오세훈 시정 작심 질타

“싱크홀은 반복되고 대책은 복붙”…하수도 요금‧토지정책‧치안대응까지 전방위 비판
“급발진 행정에 민심 급정지”…“서울시, 보여주기 대신 시민 안전부터 챙겨야” 일침

오영세 | 입력 : 2025/06/13 [08:44]

▲ 박수빈 서울시의원이 시정질문을 하고 있다. (사진=서울시의회)


“뉴스는 보물이다, 뉴스보고가 지킨다.” – News Repository –

[뉴스보고, 서울=오영세 기자] 박수빈 서울시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4)이 오세훈 서울시장을 상대로 시정 전반에 걸친 총체적 난맥상을 조목조목 지적하며 강도 높은 비판을 가했다.

 

11일 서울시의회 제331회 정례회 시정질문에서 박 의원은 싱크홀 대책, 하수도 요금, 토지거래허가제, 이상동기범죄 대응 등 주요 이슈를 중심으로 “서울시는 시민의 불안을 외면한 채, 전시행정에 머물러 있다”고 작심 발언을 쏟아냈다.

 

박 의원은 먼저 최근 명일동 싱크홀 사고를 언급하며 “사고 때마다 ‘현장방문–TF 구성–대책 발표’라는 틀에 박힌 대응만 반복된다”며 “2022년 종로와 마곡 사고 직후 구성된 ‘지반침하 TF’도 유야무야된 채 사라졌다”고 비판했다.

 

그는 “포장만 바뀐 유사 대책이 계속 이어지고, 사후 관리도 미흡해 시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오세훈 시장은 “이번에는 스마트 계측 장비 도입과 지하 안전과 신설 등 이전과는 다른 조치도 병행되고 있다”고 반박했지만, “정밀 지반지도 제작은 기술적으로 1~2년 안에 어렵다”고 한계를 인정했다.

 

박 의원은 “사고 원인과 위험요소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대응 체계를 사후가 아닌 선제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하수도 요금 인상 추진에 대해서도 박 의원은 “예산이 남는 상황에서 싱크홀을 핑계 삼아 요금을 올리는 것은 부당하다”며 “한강버스, 노들섬, 제2세종문화회관 등 보여주기 사업에는 수천억을 쏟아붓고, 정작 시민 생명과 직결된 사업은 시민에게 부담을 전가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후 재지정 논란에 대해서는 “시장 욕심으로 급발진했다가 민심에 급정지한 토허제 사태”라고 비판했고, 이에 오 시장은 “매수세 급증을 예측하지 못한 판단 오류를 인정하며, 부동산 전담 조직을 새로 신설했다”고 해명했다.

 

이상동기 범죄 대응에 대해서도 박 의원은 “경광등 나눠주는 대응으로는 부족하다”며 “고립된 시민을 위한 사회적 지지망과 공동체 복원을 포함한 근본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오 시장은 이에 “경찰에만 맡기지 않고 서울시 차원의 역할 확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 외에도 박 의원은 한강버스 사업 지연, 늘봄학교 강사 자격 논란, 극우단체 교육 현장 진출, 시민단체 보조금 관리 부실 등 다양한 현안을 질의하며 서울시의 운영 전반을 통렬히 짚었다.

 

박 의원은 “오늘의 시정 질문은 단순한 비판을 넘어, 서울시가 정책 오류를 인정하고 개선 의지를 드러낸 시간이었다”며 “지금 서울에 필요한 것은 화려한 디자인 서울이 아니라, 시민의 안전과 일상을 지키는 리뉴얼 서울”이라고 강조했다.

  • 도배방지 이미지

싱크홀, 하수도 요금, 토지거래허가제, 이상동기범죄, 박수빈 시의원, 오세훈 시장, 서울시정, 전시행정, 생활 안전, 서울시의회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이동
메인사진
2024년 첫눈 ‘폭설’…새벽 설국의 겨울 동화 시작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