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청, 총파업 대응 총력전…교육 공백 최소화 나선다유치원 돌봄부터 급식까지 대비…교직원 활용·식단 간소화로 피해 줄이기
|
[서울=뉴스보고] 오영세 기자= 서울특별시교육청이 오는 12월 6일 예정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총파업에 대비해 교육활동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서울시교육청은 총파업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교육활동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계별·직종별 대응 방안을 포함한 ‘파업 대응방안’을 발표했다.
유치원 및 초등 돌봄, 특수교육 등 필수 업무 분야에서는 학교 내 교직원을 최대한 활용하기로 했으며, 학교 급식의 경우 식단 간소화, 도시락 지참, 빵이나 우유 등 급식 대용품 제공을 권장했다.
파업 기간 동안 학교의 정상 운영을 위해 본청과 교육지원청, 학교 단위에서 파업대책 상황실을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각 학교는 자체적으로 대책을 수립하고, 가정통신문을 통해 학부모들에게 파업 관련 사항과 협조 요청을 사전에 알릴 것을 강조했다.
이번 파업은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가 주도하는 것으로, 근속수당 대폭 인상 및 합리적인 임금체계 마련을 촉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에 대해 서울시교육청은 “상당한 예산이 수반되는 사안으로 노사 간 의견 차이가 있지만, 전국 시·도교육감과 노동조합 간 집단교섭을 통해 합리적인 해결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교육청의 교육공무직원은 공무원이 아닌 근로자로, 서울 시내 각급 기관 및 학교에서 약 2만 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번 파업은 이들 교육공무직원의 근로환경과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담고 있어, 노사 간 교섭의 결과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파업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고, 교육활동이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결실을 맺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