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암물질 99% 줄인다…봉양순 시의원, 친환경 세탁기 보급 촉구드라이클리닝 속 ‘숨은 살인자’ VOCs…생활오염 절반 차지
|
![]() ▲ 봉양순 서울시의원이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서울시의회) |
“뉴스는 보물이다, 뉴스보고가 지킨다.” - News Repository -
【뉴스보고, 서울=오영세 기자】 드라이클리닝 세탁소에서 사용되는 유기용제가 시민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는 지적에, 서울시의회가 대응책 마련을 촉구하고 나섰다.
발암물질로 알려진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을 대폭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세탁기 보급이 서울시 대기질 개선의 실마리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소속 봉양순 시의원(더불어민주당, 노원3)이 지난 4월 30일 제330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서울시가 VOCs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세탁기 보급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봉 의원에 따르면, 서울시의 VOCs 배출량은 연간 약 6만 3천 톤으로, 이 중 48%가 생활 속 유기용제 사용에서 기인하고 있다. 대규모 산업단지만큼이나 시민 일상 속 오염원 관리가 중요한 셈이다. 특히 드라이클리닝 세탁소는 밀집된 도심 지역에 자리잡고 있어, 시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작지 않다.
“문제는 분명한데, 예산은 제자리걸음”이라고 봉 의원은 지적했다. 서울시는 2023년부터 소규모 세탁소에 친환경 세탁기 및 회수건조기 설치 비용의 80%를 지원하고 있지만, 3년 연속 예산 4억 8천만 원에 묶여 있어 실질적인 보급 확대는 난망한 상황이다.
그 효과는 이미 검증됐다. 환경부 연구 결과, 친환경 일체형 세탁기를 사용할 경우 VOCs는 최대 99%, 오존 생성물질은 92%, 유기에어로졸은 97% 이상 저감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봉 의원은 “이는 단순한 설비 교체가 아닌, 시민 건강과 대기질 개선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지원을 받은 세탁소들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에너지 비용 절감은 물론, 작업장 공기질 개선, 고객 만족도 향상 등 다양한 부가효과가 확인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산 부족으로 많은 세탁소가 지원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다.
봉 의원은 “서울시가 추진 중인 ‘더 맑은 서울 2030’은 구호만으론 실현되지 않는다”며 ▲보급 예산 대폭 확대 ▲설치 이후 유지관리 및 종사자 교육까지 포함한 종합 정책 설계를 강력히 요구했다. 나아가 “시민 건강을 위한 투자야말로 가장 실효성 있는 복지 정책”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시가 친환경 세탁기를 도시 대기질 개선의 전략적 도구로 삼을 수 있을지, 그리고 봉 의원의 제안이 예산 확대와 정책 전환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