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수 주택공간위원장(왼쪽 가운데)이 5월 2일 서울시 및 성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성북구 일대 정비사업 현안을 점검하기 위한 ‘제2차 시의회‧시‧구 합동점검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서울시의회)
|
“뉴스는 보물이다, 뉴스보고가 지킨다.” – News Repository –
【뉴스보고, 서울=오영세 기자】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태수 위원장(국민의힘, 성북4)이 지난 5월 2일 서울시 및 성북구청 관계 부서와 함께 성북구 일대 주택정비사업 현장을 점검하고, 다양한 문제와 개선방향을 논의하는 ‘제2차 시의회·시·구 합동점검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서울시 주거정비과, 재정비촉진과, 전략주택공급과 등 관련 실무부서와 성북구청 간부들이 함께 참여했으며, 장위동 일대를 중심으로 추진 중인 재개발, 모아타운, 가로주택정비, 도심공공복합사업 등의 현황을 집중 점검했다.
김 위원장은 먼저 장위3구역에 대해 “지분 쪼개기 논란 등으로 조합설립인가가 취소된 이후 주민들이 열악한 환경에 방치돼 있다”며, 노후건축물 안전과 빈집 관리방안 등에 대한 실질적 대책을 주문했다.
장위4구역에 대해서는 기반시설 확보 없이 입주가 이뤄지면서 “주민 불편이 심각하다”고 지적하며, 조속한 개선조치를 요구했다.
또한 장위6구역과 장위8구역은 사업추진 속도 차이로 인한 119소방센터 이전 문제와 공공공지 활용계획의 통합적 검토를 촉구했다. 특히 장위6구역 내 공공시설 이전계획이 미비해 주민 안전을 저해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갈등이 표면화된 장위10구역은 종교시설과의 명도소송 등으로 인해 사업이 장기 표류하고 있는 상황이다. 김 위원장은 “소송으로 인한 시간‧비용 손실은 결국 조합원의 피해로 이어진다”며, 양측의 중재 방안 마련 필요성을 언급했다.
장위14구역은 기부채납 총량 및 임대주택 비율 조정, 주차장 설치 등 정비계획 전반에 대한 유연한 재검토를 주문했으며, 장위12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은 서울시 주도로 설계공모부터 실시설계까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을 당부했다.
끝으로, 삼선3구역의 재개발 후보지 선정과 관련해 “사업성이 낮은 만큼 SH공사가 시행자로 참여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며, 공공주도 개발 가능성을 언급했다.
김 위원장은 “성북구에는 여러 정비사업이 동시에 추진되고 있으며, 각 구역마다 상이한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며 “서울시와 성북구청, 그리고 시의회가 유기적으로 협력해야만 사업의 정상화가 가능하다”고 강조하며 회의를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