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보고

인도 “파할감 테러 배후는 파키스탄”…‘신두르 작전’ 정밀 타격 배경 밝혀

파할감 테러 배후 ‘저항전선(TRF)’ 지목…“실체는 라슈카르-에-타이바”
민간인 공격·종교시설 타격설 전면 반박…“파키스탄이 테러 온상, 조약도 유예”

오영세 | 기사입력 2025/05/11 [08:46]

인도 “파할감 테러 배후는 파키스탄”…‘신두르 작전’ 정밀 타격 배경 밝혀

파할감 테러 배후 ‘저항전선(TRF)’ 지목…“실체는 라슈카르-에-타이바”
민간인 공격·종교시설 타격설 전면 반박…“파키스탄이 테러 온상, 조약도 유예”

오영세 | 입력 : 2025/05/11 [08:46]

▲ 인도 공군 관계자가 5월 8일 인도 뉴델리에서 ‘신두르 작전(Operation SINDOOR)’ 언론 특별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인도대사관)


“뉴스는 보물이다, 뉴스보고가 지킨다.” – News Repository –

【뉴스보고=오영세 기자】 인도 정부가 지난 5월 8일, 파키스탄과의 국경 긴장 고조 속에서 전개한 ‘신두르 작전(Operation SINDOOR)’의 배경과 정당성을 공개하며, 4월 22일 발생한 파할감 테러의 배후로 파키스탄 기반 테러조직을 지목했다.

 

비크람 미스리 인도 외교차관은 이날 특별 브리핑을 통해 “이번 작전은 군사 보복이 아닌, 명확한 타깃을 겨냥한 테러 대응”이라며 “파할감 테러는 저항전선(TRF)이 책임을 주장했고, 이 조직은 실질적으로 라슈카르-에-타이바의 위장 전선”이라고 강조했다.

 

TRF는 사건 발생 직후인 4월 22일과 23일 두 차례에 걸쳐 자신들의 소행임을 밝혔으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해당 조직을 언급하려는 움직임에 파키스탄이 강력 반대했다는 점도 공개됐다. “배후가 아니라면, 왜 그 이름조차 거부했는가”라는 미스리 차관의 반문은 국제사회의 의심을 짙게 만들었다.

 

인도 정부는 5월 7일 이뤄진 공습이 “비군사적‧비민간인 목표만을 정밀 타격했다”고 밝혔으며, 파키스탄 측의 민간인 피해 주장에 대해선 “거짓된 서사”라고 강하게 반박했다. 미스리 차관은 “사망자 장례식에서 파키스탄 국기가 관을 덮고 국장(國葬) 형식이 진행됐다는 점이야말로, 이들이 민간인이 아님을 반증한다”고 지적했다.

 

오히려 파키스탄이 보복 공격을 통해 카슈미르의 시크교 공동체와 종교시설(구르드와라)을 타격해 민간인 16명이 사망하고 59명이 부상당한 사실을 언급하며, 진짜 ‘민간인 피해’를 만든 쪽이 누구인지 되물었다.

 

이번 브리핑에서는 60년 넘게 유지돼 온 인더스 수자원 조약도 사실상 유예 상태에 들어갔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인도는 지난 1년 반 동안 파키스탄에 조약 재협상을 수차례 요청했으나, 아무런 응답 없이 시간만 흘렀다는 것이다.

 

인도 측은 “이 조약은 1950~60년대 기술을 기준으로 했던 시대의 산물이며, 현재는 기술‧기후‧인구 환경이 모두 바뀌었다. 파키스탄의 교차국경 테러가 계속되는 한, 조약의 정신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며 더 이상 일방적인 조약 준수를 지속할 수 없다고 판단, 유예 조치를 공식화했다.

 

미스리 차관은 파키스탄이 제안한 ‘국제 공동조사’에 대해서도 단호히 선을 그었다. 그는 2008년 뭄바이 테러와 2016년 파탄코트 공격 사례를 언급하며, 인도가 이미 증거와 수사협력을 제공했음에도 파키스탄은 수사 진전을 방해하거나 테러범을 은닉했다고 비판했다.

 

“공동조사는 평화를 위한 제안이 아니라, 자기들의 흔적을 감추기 위한 시간 끌기일 뿐이다.” 인도는 이번 ‘신두르 작전’ 역시 그러한 반복을 방지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밝혔다.

  • 도배방지 이미지

인도, 신두르 작전, 파할감 테러, TRF, 라슈카르-에-타이바, 파키스탄, 인더스 수자원 조약, 민간인 피해 조작, 공동조사 거부, 시크교 공격, 교차국경 테러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이동
메인사진
2024년 첫눈 ‘폭설’…새벽 설국의 겨울 동화 시작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