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보고

[현장에서] “400억 차액, 어디로 갔나”…G건설 입찰 비리 의혹 폭로

공익제보자 “사전 예가 유출 후 협력업체 동원해 금전 회수”…시민단체 “구조적 부패, 국민 피해로 번진다”
감사요청 3개월째 ‘무응답’…“인천 검단지구 사고도 무관치 않아” 비판 목소리 확산

오영세 | 기사입력 2025/06/13 [16:01]

[현장에서] “400억 차액, 어디로 갔나”…G건설 입찰 비리 의혹 폭로

공익제보자 “사전 예가 유출 후 협력업체 동원해 금전 회수”…시민단체 “구조적 부패, 국민 피해로 번진다”
감사요청 3개월째 ‘무응답’…“인천 검단지구 사고도 무관치 않아” 비판 목소리 확산

오영세 | 입력 : 2025/06/13 [16:01]

▲ 시민사회단체와 공익제보자가 G건설 입찰 비리 의혹과 관련해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오영세 기자)


“뉴스는 보물이다, 뉴스보고가 지킨다.” – News Repository –

[뉴스보고, 서울=오영세 기자] “입찰 전에 금액을 다 알려줬어요. 그대로 입찰 때리고 남은 차액이 400억입니다.”

 

13일 오전 11시 30분, 서울 종각 G건설 사옥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장. 공익제보자로 나선 최모 씨는 침착한 어조로 이 같은 내용의 충격적인 내용을 꺼내 들었다.

 

▲ 공익제보자 최 모씨가 G건설의 비리를 폭로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사진=오영세 기자)


최 씨는 지건설의 입찰 과정에서 특정 철골업체 13곳에 사전에 단가 정보를 넘기고, 그 결과 입찰가가 비정상적으로 하락했으며, 남은 차액 400억 원은 협력업체를 통해 회수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김포 상가 구입 등에도 이 자금이 사용된 것으로 파악된다”며 “파주 현장에서도 같은 방식의 정산 회피와 금전 유출이 반복됐다”고 밝혔다.

 

최 씨의 증언에 따르면 그는 35년간 건설 현장에서 다양한 방식의 갑질과 횡령 구조를 경험했고, 이번에는 더는 침묵할 수 없어 ‘마지막’이라는 각오로 폭로에 나섰다며, “3개월 전에 감사팀에 관련 내용을 통보했지만 지금까지 아무런 조사도 없다. 꼬리 자르기 식 대응만 반복되고 있다”고 회사 측의 무책임한 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

 

▲ 이근철 시민단체 대표가 “침묵은 공범이다”, “응답하라, 해명하라”…구호를 선창하고 있다. (사진=오영세 기자)


현장에 함께한 시민사회단체 대표들은 이번 제보를 “단순한 개인 피해 폭로가 아닌, 한국 건설 산업 전반에 스며든 구조적 부정부패를 드러낸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 발생한 인천 검단지구 사고와 같은 건설 리스크에도 이러한 구조가 연결돼 있을 가능성을 언급하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결국 가장 큰 피해를 입게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기자 질의응답에서는 실제 자금 유출 방식과 제보자의 역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오갔다. “사전에 알았냐”는 질문에 최 씨는 “현장 소장이 내게 자료를 흘리고, 나는 그 내용을 입찰 과정에서 사용했지만 그 후로 입찰가는 낮아지고 실제로는 내가 받지 못한 돈이 많았다. 결국 그 돈은 그들이 회수한 것”이라고 답했다.

 

또 다른 시민단체 관계자는 “100만 원짜리 공사에 재료비를 50만 원만 들이고 나머지는 빼돌리는 구조라면, 당연히 부실 시공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것이 검단 사고와 다르다고 할 수 있겠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 김선호 행의정감시네트워크 회장이 기자회견을 갖고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오영세 기자)


기자회견을 주도한 김선호 행‧의정감시네트워크 회장은 “지금은 의혹 단계지만 자료를 확보해 공식 통보하고, 사실로 밝혀질 경우 강력한 법적 조치를 요구할 것”이라며 “지건설 하나만의 문제가 아니라 건설업 전반의 고질적 병폐를 드러낸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공익제보자 최 씨는 마지막 발언에서 “이제는 침묵이 아니라 행동해야 할 때다. 하청업체도 숨 쉴 수 있는 공정한 시장이 필요하다. 끝까지 싸우겠다”고 다짐했다.

 

뉴스보고는 해당 의혹에 대한 G건설 측의 입장이 확인되는 대로 후속 보도를 이어갈 예정이다.

  • 도배방지 이미지

GS건설, 입찰 비리, 공익제보, 하청 갑질, 입찰 예가 유출, 정산 회피, 시민사회단체, 부실 시공, 검단지구 사고, 구조적 부패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이동
메인사진
2024년 첫눈 ‘폭설’…새벽 설국의 겨울 동화 시작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